기획투자부(MPI) 산하 외국인투자국(FIA)에 따르면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올해 1~11월 기간 자본등록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288억5000만 달러다. 프로젝트 등록 자본 중에서 지출 비율은 63.6%다.
베트남은 2023년 10개월까지 섬유·의류 수출액은 33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45% 감소했다. 10월 당월 수출은 32억 달러로 전월 대비 5.28%, 전년 동기 대비 2.96% 증가하며 회복 조짐을 보였다. 미국은 베트남에 있어 최대 의류 수입국으로 시장점유율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 EU, 한국, 중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S&P Global에 따르면 베트남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10월 49.6에서 11월 47.3으로 5개월 최저치로 하락했다. 기획투자부 산하 기업등록관리청에 따르면 11월 신규기업 수는 47% 증가하고 신규기업 자본금은 19.5% 증가했다.
호찌민시 노동보훈사회부서 12월 1일 회의에서 담당 국장은 11월의 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최고에 달한 6월에 비해 25% 감소함으로써 향후 연말연시 성수기를 앞두고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베트남 거시경제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측정한 인플레이션은 8월 3%에서 2023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3.7%로 급등했다. 또한, 10월 근원 인플레이션은 훨씬 더 빠른 4.38% 상승했다. 향후 경제 관리의 근본인 물가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베트남 국가관광국에 따르면 11월 외국인 방문객이 123만 명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2년 3월 코로나 이후 국경을 재개한 후 월간 최고치다. 11개월간 입국 관광객 수는 1120만 명을 넘어섰으며 연간 목표 800만 명을 초과했다. 국가별 입국자로 한국은 320만 명, 중국 본토는 150만 명이다.
전자상거래 포럼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수요와 공급이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리면서 2022년 베트남 인구의 절반 이상인 5700만 명이 온라인에서 쇼핑했다. 온라인쇼핑을 하는 소비자의 43%는 1997년 이후에 태어난 Z세대다.
베트남의 젊은 소비자는 자신만의 가치를 추구하며 품질이 낮은 제품을 구매하게 되면 브랜드를 바꾸며 소비시장을 주도하는 소비계층이다. 온라인에서 구매액이 연간 16~30%씩 증가하고 있다. 2025년 시장규모는 450억 달러로 전망된다.
베트남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속해서 인하 중인 예금금리로 인해 시중 상업은행의 예금금리가 5%대로 낮아졌음에도 예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여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석가들은 다른 자산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신용증가율은 목표 14%에 미치지 못하는 7.4%에 불과하다.
저축금리가 하락해 대출금리가 낮아진 반면, 글로벌 및 국내 거시경제 상황이 어려워 신용 성장은 둔화했다. 은행은 최근 큰 폭 늘어난 부실채권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현시점에서 은행에서 증권시장으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베트남에서 가장 비싼 임대료는 호찌민시 중심가 동커이(Dong Khoi) 거리로 주변에는 5성급 호텔과 쇼핑센터가 모여 있다. 800m 길이의 거리에는 유명 브랜드를 판매하는 매장이 즐비하다. 외국인을 비롯한 유통인구가 가장 많은 거리이기도 하지만 온라인쇼핑으로 이동하는 트렌드로 임차인이 없는 점포가 30% 정도다.
할인율이 가장 높은 블랙프라이데이 주말 기간 중심가 쇼핑거리는 가족들과 함께 쇼핑하려는 차량과 오토바이로 인해 진입하는데 1시간 이상 소요되며 소비자 인파로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어떤 점포는 준비한 상품이 전부 매진되기도 했다.
1년 중 가장 큰 축제인 음력 설(Tet)까지 2개월 남짓 남았기 때문에 베트남 소매업체들은 연말 쇼핑 시즌을 기대하며 재고를 늘리고 프로모션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국내 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공공투자 지출이 지속적으로 촉진되면서 2023년 말까지 상품과 서비스 소매판매가 다시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베트남 소비자는 할인판매 시즌이 되면 그동안 구매를 보류했던 상품과 부모님과 가족을 비롯한 친지들에게 선물할 상품을 구매하는 적기이기도 한다. 특히, 프로모션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저렴하게 판매하는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며 향후 충성 고객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기도 하다.
프로모션으로 할인 판매하는 상품이라도 구매한 상품의 품질은 우수해야 하며 구매한 소비자는 가성비가 높은 상품을 구매했다는 만족도가 높아야 한다. 이러한 프로모션은 향후 소비자의 재구매로 이어지며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