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10년 만에 돌아온 베트남 인구센서스

□ 2019년 베트남 인구주택총조사

ㅇ 10년 만에 돌아온 베트남 인구주택총조사

- 베트남 정부는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이하 인구센서스)를 완료하고 당해 12월 결과를 공식 발표함. 최종본은 2020년 2분기 발간 예정임.

- 베트남 인구센서스는 10년 주기임. 현지 정부가 사회주의공화 이념으로 통일된 후 인구센서스는 1979년부터 시행됨.

- 2019년 베트남 인구센서스는 △ 2011~2020년 사회·경제 개발 계획 평가 △ 2021~2030년 사회·경제 개발 계획 고안 △ 12차 공산당 중앙인민위원회의 인구 관련 결의안 시행 현황 모니터링 △ 베트남 정부가 동의한 국제연합(UN)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이행 현황 모니터링 △ 인구 통합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표로 기획됐음. (자료: 현지 결의안 Decision 772/QD-TTg)

 

ㅇ IT 첫걸음 뗀 베트남 인구센서스

-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이행된 이번 베트남 인구센서스는 자료 수집 시 정보통신기술(IT)이 최초로 도입됐다는 점에 의의가 있음. 그전까지만 하더라도, 현지 인구센서스는 전통적 현장조사방식(대면 인터뷰 및 종이 설문지 수거)으로만 이루어졌음.

- 2019년 베트남 인구센서스는 전통적 현장조사방식에 더해 이동통신기기에 설치한 설문 포맷과 웹사이트 기반의 온라인 설문 포맷을 활용함.  

 

□ 베트남, 동남아에서 소비자 수 TOP 3

ㅇ 베트남 인구 10년 사이 1,040만 명 증가

- 2019년 4월 인구센서스 기준 베트남 인구는 9620만8984명

- 2019년 베트남 인구는 2009년 대비 10.7%, 전년 대비 1.6% 증가

- 현지 관계당국은 베트남 인구가 2025년 전후 1억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함. 2009~2019년 사이 베트남의 인구 성장률은 연간 평균 1.14%임. 오는 3~4년 사이 인구 성장률이 이와 비슷한 1%대를 유지할 것으로 가정한다면, 2025년 베트남 인구 1억명 도달 전망은 실현 가능성이 높아 보임.

 

ㅇ 동남아에서 베트남 인구 순위는 3번째

- KOTRA 국가정보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2020년 추산 인구 수 기준, ASEAN 내 인구 순위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순

- 베트남의 인구 밀집도 또한 ASEAN에서 3번째로 높음. 베트남의 인구 밀집도는 ㎢당 290명으로, 싱가포르(8,292명/㎢)와 필리핀(363명/㎢) 다음으로 기록됨.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

 

ㅇ 베트남 인구는 호치민시와 하노이에 집중

- 베트남 내 63개 시·성(province) 중 약 18% 인구가 호치민시와 하노이에 분포함.

- 베트남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호치민시로, 해당 도시 인구는 899만3082명(전체 인구 대비 9.3%)에 달함. 호치민시에서 인구가 많은 주요 지역은 떤빈군(Tân Bình district, 78만 명가량), 빈짠군(Bình Chánh district, 70만 명) 등

 

ㅇ 2019년 기준 베트남 내 가구 수는 2687만, 가구 당 평균 인원의 수는 3.5명

- 베트남에서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박닌성(Bắc Ninh province), 빈증성(Bình Dương province), 타이응웬성(Thái Nguyên province) 등

 

□ 베트남 소비자의 주머니 사정

ㅇ 1인당 연간 평균 GDP는 약 3,000달러

- 2019년 기준 베트남의 1인당 월별 평균 소득은 560만 동(약 240달러)임. 대학 교육을 받은 노동자의 월별 평균 소득은 930만 동(약 400달러)으로 추산됨. (자료: 베트남 통계청)

- 한편, 지난 2019년 말 현지 통계총국은 2017년의 연간 1인당 GDP를 2,985달러로 다시 산정한 바 있음. 이는 2017년 당시 산출했던 2385달러보다 높은 금액임. 현지 통계청은 2010~2017년 실제 물가 및 기타 요소를 대조해 경제 규모를 검산한 결과 이 같은 값이 도출됐다고 설명함.

- 다만, 베트남 소비 시장 조사 시 2985달러라는 숫자는 ‘평균 값’임을 염두에 두어야 함. 더불어 고려해야할 것은 현지 소비자의 높은 현금 선호도*, 현지 정부의 공식 집계에 드러나지 않는 지하경제의 규모임.

- 2018년 초 베트남 통계총국장은 공식 집계되지 않는 현지 지하경제가 GDP의 30%에 이르는 규모일 것으로 추측함. 베트남은 개인 및 가정의 소규모 경제 활동이 전체 생산의 87.7%, 국가 총 고용시장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

- 현지 통계총국은 개인 및 가정의 영세한 상업 활동이 빈번하나 행정 체계에 포착되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그 규모를 정확히 가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함. (자료: 현지 국영뉴스신문 Vietnam News)

 

ㅇ (참고) 베트남에서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호치민시

- 호치민시의 1인당 평균 GDP는 2018년에 6,000달러를 넘어섰고, 2020년에는 6,67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자료: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호치민시 당위원회)

- 호치민시에 이어 소득이 높은 지역은 하이퐁시(Hải Phòng City)와 수도 하노이임. 하이퐁시가 타지역 대비 소득 수준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해당 도시가 현지 주요 경제구 중 한 곳이기 때문임. 대표적으로 LG, General Electronic을 비롯한 글로벌 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이 하이퐁시에 생산시설을 투자하여 가동 중임.

 

ㅇ 베트남, 가정당 연간 평균 소득 6,206달러 추정

- BMI Research에 따르면, 베트남의 가정당 연간 평균 소득(gross income per household)은 2019년 5,729달러, 2020년 6,206달러로 추산됨.

- 참고로 해당 기업이 분석한 2020년 1인당 평균 소득은 2429달러인데, 이는 현지 통계총국 자료보다 낮은 수준임을 감안해야 함.

 

□ 베트남 인구 구조

ㅇ 베트남 미성년 인구는 약 30%

- BMI Research는 2020년 기준 만 19세 이하 베트남 인구가 약 29.9%에 이를 것으로 추산함. 한편, 만 20~39세에 속한 인구는 32.5%를 차지함.

- 2020년 베트남의 중위 연령은 32.5세로 추산됨. 한편, 2020년 한국의 중위 연령은 43.7세임.
 

ㅇ 베트남, 인구 황금기 지속 중

- 베트남은 2007년부터 인구 황금기*에 돌입했음. 현지 관계 당국은 이 시기가 약 30년간 지속돼 2040년 전후 시점에 끝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

 

□ 시사점

ㅇ 2020년 베트남 행정 체계 전산화 가속 전망

- 특히 2016년 전후를 기점으로 베트남 정부는 행정 투명성과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강조하며, e-Government 신설, 물류 통관 관리 포털 구축, 교통 관리 디지털 체계 강화 등 온라인 행정 체계 확충 및 행정 문서 전산화를 가속시켰음.

- 2019년 인구센서스 또한 한 예임. 베트남으로서는 최초로 자료 수집 단계에 IT 기술을 도입한 이번 인구센서스는, 현지 행정 체계의 전산화를 더욱 가속할 발화점이 될 것임.
 

ㅇ 베트남, 소비시장으로 차근히 성장 중

- 1억에 가까운 인구 성장 및 현지 소비자들의 경제력 제고 덕분에 베트남은 노동 시장의 강점이 우선 부각됐던 과거와 비교해 소매유통 시장 투자가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임.

- 실제로 일부 지역(특히 호치민시와 하노이 같은 5대 중앙정부직할시)의 소득 수준은 국가 평균 대비 2~3배가량 높음. 드러나지 않는 지하경제의 규모까지 고려한다면 현지 일부 지역의 소비자 심리는 표면에 드러난 평균 소득에 한정돼 있지 않을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함.

- 다만, 그 잠재성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인의 평균 소득 수준이 연간 3,000달러 언저리이며 지역별 소비자의 경제력에 큰 편차가 있다는 시장의 이면 또한 감안해야 함.

- 9,600만 명을 상회하는 풍부한 인구의 수와 소비자 개인의 경제 수준은 별개이며, 이들의 소비 규모가 성장하기까지 투자금 투입과 시간 인내가 지속 요구되는 시장임을 고려해야 함.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해외에서 베트남 관광 검색량 1025% ↑

해외에서 베트남 관광 검색량 10~25% ↑

5월 7일 베트남 국가관광청은 구글 목적지 인사이트(Google Destination Insights)의 여행 트렌드 추적 도구에서 취합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초부터 현재까지 베트남 관광에 대한 해외 검색량이 약 10~25%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재 베트남은 관광 검색 순위에서 전 세계 7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역내 여러 국가들을 제치고 동남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