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네이버과 베트남의 하노이 백과대학교, AI 센터 설립

네이버는 베트남을 대표하는 최고 명문 공과대학 하노이과학기술대학(HUST, 하노이백과대학교)과 함께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연구개발을 비롯한 다양한 산학협력을 진행할 전용 연구 공간 'HUST-네이버 AI 센터'를 열었다고 지난 달 31일 발표했다.

이날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된 오픈식에는 황밍선 베트남 교육부 차관, 부이테주이 과학기술부 차관, 응웬후잉중 정보통신부 차관, 후잉꾸엣탕 하노이과학기술대학 총장 등 베트남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네이버에서는 최인혁 최고운영책임자(COO), 채선주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CCO),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김광현 서치 CIC 대표, 정석근 클로바 CIC 대표, 하정우 AI LAB 연구소장 등이 자리했다.

이번 공동 AI 센터 설립은 네이버가 지난 2019년 선언한 ‘글로벌 AI 연구 벨트’ 구축의 일환이다. 네이버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기술 연구 네트워크를 만들어, 미·중 중심의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구도 속에서 ‘제3의 흐름’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지난해 7월 베트남 대표 교육·연구기관인 HUST(하노이과학기술대학), PTIT(우정통신기술대학)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HUST 캠퍼스 내에 설치된 공동 AI 센터에서는 베트남 현지의 우수 인재들이 네이버 연구진과 함께 검색, 비전,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다양한 기술 분야 산학과제들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자율주행을 위한 장면이해 ▲동의어 추출 ▲OCR광학식문자판독 ▲핸드포즈 추정 데이터 세트 준비 및 딥러닝 모델링 ▲자연어 이해 데이터세트 구축과 대화모델 개발 등이 있다.

네이버는 산학과제 진행 단계에 따라 현지 연구인력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네이버 엔지니어들의 현지 특강 ▲인턴십 및 장학금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AI 등 기술 주제와 밀접한 다양한 캠퍼스 행사도 해당 공간에서 수시로 진행할 계획이다.양측은 HUST-네이버 AI 센터가 장기적으로 베트남 현지의 우수 인재 육성·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네이버는 세계적 권위의 학회에서 인정받고 있는 우수한 기술력을 현지 인재들과도 공유, 글로벌 무대에서 네이버의 기술과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잘 알릴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향후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더욱 강화해나가며 베트남뿐 아니라 수많은 전세계 인재들과도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회사의 우수한 기술력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AI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다.

한편 1956년 설립된 하노이과학기술대학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최고 명문 공과대학으로, 매년 이공계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베트남의 KAIST’다. 석·박사 1700여 명을 포함해 약 3만4300여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매년 7000여 명이 새로 입학한다.
[베한타임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