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가을, 베트남 8월 혁명의 성공은 한 민족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겠다는 의지와 결심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으며, 전 세계 탈식민지화 운동에 영감을 불어넣었다.
사진: 베트남 통신사 |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건국된 지 불과 한 달여 뒤인 1945년 10월,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아프리카 민족들은 공식적으로 독립을 요구했다. 당시를 회상하며 아시아-아프리카 연대위원회 전 정보국장 파크리 라빕(Fakhry Labib) 박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8월 혁명은 베트남만의 역사가 아닌, 전 세계의 역사를 만들어냈습니다. 1945년 가을부터 베트남은 식민지배를 받던 민족과 침략당한 국가들의 깃발이자 상징이 되었습니다.”
한편, 베트남 역사를 오랫동안 연구해 온 미국인 역사학자이자 전 하노이 국립대학교 교수인 더글러스 자딘(Douglas Jardin)은 국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베트남 8월 혁명의 영향력이 동남아시아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 민족들을 일깨워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압제, 착취, 종속으로부터 스스로 해방될 수 있도록 투쟁을 고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1945년 8월 혁명과 베트남의 독립은 후대의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모범이자 영감이 되었습니다. 특히 인도차이나나 아프리카에 있는 프랑스 식민지, 대표적으로 알제리를 보면 베트남의 독립운동과 이들 국가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8월 혁명의 교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러시아 호찌민 연구소 소장인 블라디미르 콜로토프(Vladimir Kolotov) 교수는 호찌민 주석이 세계의 다양한 혁명들의 성공과 실패를 연구하여 교훈을 얻었고, 이를 국제 공산주의 이론과 결합해 베트남 현실에 창의적으로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전략적 비전은 오늘날에도 매우 귀중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오늘날 우리는 호찌민 주석의 용병술과 전략 기획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전략은 여전히 높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세계에는 여전히 종속된 체제들이 존재하며, 그들 역시 스스로를 해방시킬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사례는 ‘베트남이 해방되었듯 우리도 해방될 수 있다’는 확신을 그들에게 줄 수 있습니다.”
역사적인 가을로부터 80년이 지난 지금, 노르웨이 역사학자 스테인 토네슨(Stein Tonnesson)은 베트남의 8월 혁명이 러시아의 2월 혁명(1917년), 프랑스의 7월 혁명(1830년), 러시아의 10월 혁명(1917년) 등 인류 역사를 바꾼 혁명들처럼 달의 이름으로 불린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베트남의 8월 혁명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혁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베트남픽토리알/베트남라디오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