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베트남, 2025년 수출 12% 성장 목표 달성 위해 무역진흥 강화

수출은 오랫동안 베트남 경제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서,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무역수지를 안정시키며 수백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데 기여해왔다. 2025년 베트남 정부는 약 4,500억 ~4510억 달러(약 627조~629조 원) 규모의 수출액 달성 및 300억 달러(약 42조 원)의 무역흑자를 기록하며 수출을 12%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올해 첫 8개월간 베트남 수출은 이미 동기 대비 13% 이상 증가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열었다. 그러나 변동성이 큰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베트남은 여러 가지 전략적 방안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2025년 수출 12% 성장 목표 달성 위해 무역진흥 강화 - ảnh 1베트남 상공부와 협회 및 업계 관계자들 간의 회의의 모습

시장 확장 및 다변화는 베트남이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 핵심 전략 중 하나이다. 베트남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EU-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차세대 자유무역협정(FTA)을 기반으로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잠재력 있는 지역으로 무역진흥 활동을 강화하여 특정 전통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유통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응우옌 홍 지엔(Nguyễn Hồng Diên) 베트남 상공부 장관은 최근 협회 및 업계 관계자들과의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각 협회와 업계는 기업의 현실과 역량에 맞는 무역진흥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특히, 이미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자유무역협정 시장을 우선시하고, 동유럽,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잠재 시장으로 과감하게 진출하여 시장을 다변화하고 전통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탈피해야 합니다. 둘째, 기업의 생산 및 영업 활동에 필요한 최신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주요 수출 시장, 특히 베트남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시장의 시장 동향, 무역 정책, 관세, 기술 표준 등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정기적으로 공유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베트남은 핵심 산업 발전에도 주력하고 있다. 전자, 농산물, 섬유, 수산물, 신발 등 주요 산업들은 여전히 수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전자산업은 고품질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반도체·인공지능(AI)·재생에너지 분야 글로벌 공급망에 더 깊이 참여하려 하고 있다. 농산물과 수산물 분야는 가공 품질을 높이고, 원산지 추적 및 수입 시장의 친환경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섬유 및 신발 산업의 경우, 친환경 생산으로 전환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현지화 비율을 높이는 것이 점점 더 엄격해지는 유럽과 미국의 기술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 되고 있다. 베트남 가죽‧신발‧가방 협회(Lefaso)의 판 티 타인 쑤언(Phan Thị Thanh Xuân) 부회장은 다음과 같이 전했다. 

우리는 17개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여 기업들이 시장을 다양화할 수 있는 훌륭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가장 큰 과제는 다변화하려는 시장들이 모두 어려움에 직면해 있어 비용을 최적화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시장을 확장하려면 기술 적용 전략을 확장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시장과 소비자에게 더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어야 합니다.” 

기업은 수출 전략을 실행하는 주체이다. 이에 따라 수출 시장 확대의 핵심 방안은 디지털 기술과 국경을 초월한 전자상거래를 적극 도입하는 것이다. 동시에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관련 인증은 까다로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중요한 ‘통행증’이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 호앙 꽝 퐁(Hoàng Quang Phòng) 부소장은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많은 시장이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고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요구사항을 점점 더 엄격하게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녹색 전환과 디지털 전환에 자원을 투자하고, 수입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원산지 규정 및 투명한 원산지 표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투입재의 현지화 비율을 높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변동성이 큰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베트남 기업들은 더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시장 접근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기업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정책은 선도적인 역할을 한다. 베트남 정부는 협상을 지속하고 무역 장벽을 해소하며 기업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무역 구제 소송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무역진흥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국가 브랜드의 국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미 베트남 대사관 도 응옥 흥(Đỗ Ngọc Hưng) 무역참사관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잠재력 있는 품목의 생산수출 기회를 모색하고 제품을 소개하기 위한 무역진흥 프로그램, 박람회, 전시회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또한, 향후 소송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동적인 대응을 피하기 위해 무역 구제 소송에 대한 예측 및 조기 경보 업무를 강화해야 합니다.” 

2025년 첫 8개월간의 긍정적 성과와 구체적인 해결책을 기반으로, 베트남은 2025년 수출 12% 성장 목표 달성의 확고한 토대를 마련했다. 목표를 달성할 경우 베트남은 세계 20대 무역경제국으로서의 입지를 한층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픽토리알/ 베트남 라디오 방송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