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어디에 있든 상관이 없이 최고의 교육시스템을 받아야 한다' 라는 생각으로 하아잉프엉(Hà Ánh Phượng)교사는 4대륙에서 거주하는 가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경을 넘는 공동 수업을 열었다.
풍쑤언느아(Phùng Xuân Nhạ)베트남 교육훈련부 장관은 하아잉프엉(Hà Ánh Phượng)교사에게 축하편지를 보내면서 이번에 수상한 상은 교육 분야에 노벨상과 같으며 하아잉프엉 선생이 50인 중 한명으로 선정됐다는 것은 우리나라 교육훈련부에게 기쁨이자 자랑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
푸토(Phú Thọ)성의 가난한 산악 지역에서 태어나 자란 하아잉프엉 교사는 누구보다 산악 지역의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어려운지 가장 이해 한다. 특히 외국어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희박하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하아잉프엉 교사의 말에 따르면 산악 지역의 어린이들은 ‘수업이 끝나는 방과 후에는 여지없이 산을 올라 일을 해야 하지만 꿈도 있고 능력도 있고 아주 독립적인 어린이들이다. 하아잉프엉(Hà Ánh Phượng)교사는 자신이 바로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가장 생생한 증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아잉프엉 교사는 어렸을 때부터 선생님이 되고 싶은 꿈을 꿨다. 당시에 그녀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산악 지역에 활동하는 교사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봤는데 그 분들이 학생 한명 한명의 집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어린들을 학교에 갈 수 있게 부모들을 설득해야 하던 장면을 보았다. 집이 학교에 앞에 있는 하아잉프엉은 교실에서 학생들 앞에서 교사 놀이를 하는 것을 아주 좋아했는데 당시 그녀의 아버지는 목재를 찾아 나무판자를 제작하여 딸이 교사놀이를 할 수 있게 도왔다. 그녀의 아버지도 20 km 거리를 여러 번 갔다 하면서 딸을 위해 참고서들을 구입해 왔다. 하아잉프엉 교사는 “자식이 교육을 잘 받을 수 있기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신 저희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항상 감사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모든 면에서 여러 다른 산악 지역들은 똑같은 어려움을 내재하고 있었지만, 영어수업에 대한 열정을 키우기 위해 하아잉프엉 교사는 뉴스보기, 영어신문 읽기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영어교사로 되고 싶었던 그녀는 꿈을 조금씩 키워가면서도 자신이 속했던 산악 지역인 고향에서 거주하는 분들의 인식을 바꾸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하노이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에 하아잉프엉 교사는 아주 좋은 급여와 대표사무소 소장 겸 통역 직책으로 파키스탄 약품업체로 부터 제안을 받았다. 그러나 그녀는 거절하고 하노이사범대학교 영어사범 전공의 석사를 계속 공부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 교육 개발을 하겠다는 꿈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능력도 있고 원대한 꿈과 희망을 갖고 있는 교사인 하아잉프엉은 산악 지역의 학교에서 가르치면서도 글로벌 포럼에도 자주 참석하여 교육 전문성을 개발하는 논의에 항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녀는 매주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강의 계획서를 함께 준비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Microsoft 교육그룹의 활발히 활동하는 회원이기도 하다.

제일 효과적인 강의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하아잉프엉(Hà Ánh Phượng)교사는
동료들과 함께 학생들의 대상으로 가장 좋은 교육방식에 대해 항상 논의한다.
사진: 카잉롱(Khánh Long)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않는 켐페인을 홍보하는 하아잉프엉 교사와 학생들의 모습
사진: 자료사진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말자는 운동을 시작한 황찌엣번(Hoàng Triết Vấn)싱가포르 최고의 경제박사를
멘토링하면서 유익한 조언을 많이 해주었다.
사진: 자료사진
|
흐엉껀(Hương Cần)고등학교에 재직하면서 하아잉프엉(Hà Ánh Phượng )교사는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국경을 넘는 공동 수업을 스카이프(Skype)앱으로 해외학교 학생과 연결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어수업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수업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하아잉프엉 교사의 영어수업은 온라인방식으로 국경을 넘는 공동수업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그녀의 산악지역 교실은 일부분일 뿐이고, 나머지는 워싱턴, 인도 등 해외 여러 나라에 걸쳐 설치되어있다.
국경을 넘는 공동 수업 뿐만 아니라 2019~2020 학기를 맞이하여 하아잉프엉 교사는 흐엉껀(Hương Cần)고등학교 학생 90명과 함께 동행하면서 직접 지원도 하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말자’ 라는 국제적인 사업을 진행했다. 하아잉프엉 교사와 학생들의 이 프로젝트는 4대륙의 7개의 나라에서 온 학생들과도 연결됐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하아잉프엉 교사의 므엉(Mường)수소민족 학생들은 대나무로 직접 만든 빨대를 가지고 와서 자신 있게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해외친구들에게도 환경보호 인식이 퍼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하아잉프엉 교사는 "반짝반짝거리는 눈빛으로 영어로 자신 있게 대화 하는 우리 학생들을 보면 미래에는 훌륭한 글로벌 시민이 될 수 있을거라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베트남뿐만 아니라 그녀는 인도, 남아프리카 등 가난한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료 온라인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젊은 교사인 하아잉프엉은 학생을 위한 유튜브 채널을 열어 무료 영어수업을 하면서 동시에 교육 관련 활동 및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세워 교육에 대한 사업들을 공유해 나갈 것이다
./.
바키재단(Varkey Foundation)의 글로벌 최고 교사에 대한 시상은 2014년에 시작됐다. 매년 시상 개최위원회가 여러 나라에서 온 수 천개의 이력자료를 검토하는데, 특히 2019년에만 10,000 개 이상의 자료를 받았다. 교육 분야에서 훌륭하게 기여하는 교사를 선정하게 되며 각 교사는 상금으로 미화 100만 달러를 수여받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