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아세안과 동행한 30년 여정

베트남, 아세안과 동행한 30년 여정

 베트남의 아세안 가입 30주년 기념식에서 연설하는 또럼(Tô Lâm)베트남 당서기장의 모습. 사진: 베트남통신사

아세안을 기점으로 점차 깊어지는 지역 및 국제 통합의 여정 속에서 베트남은 강력하고 단합된 아세안, 그리고 역내 및 세계에서 역할과 위상을 지닌 아세안을 위해 주도적이고 적극적이며 책임감 있는 기여를 해왔다. 아세안 협력을 통해 얻은 이점들은 지난 30년간 베트남의 전반적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럼(Tô Lâm) 당서기장 내외와 까오 김 호른(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 내외가 베트남의 아세안 가입 30주년을 기념하는 케이크를 자르고 있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베트남은 1995년 7월 28일 아세안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아세안과 동행한 약 30년의 여정 동안 베트남은 전쟁을 겪고 고립 및 경제 제재를 받았던 국가에서 오늘날 194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70개 이상의 지역 및 국제 포럼과 기구의 회원국이 되었다. 베트남과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는 34개국 중에는 모든 아세안 회원국과 협회의 주요 파트너들이 포함되어 있다. 베트남이 60개 이상의 파트너와 체결한 FTA(자유무역협정) 네트워크는 베트남을 세계 40대 경제 대국이자 FD(외국인직접투자) 유치 및 무역 규모 면에서 상위 20대 경제국 반열에 올려놓는데 기여했다.

아세안 깃발 게양 의식을 진행하고 있는 의장대원들의 모습. 사진: 베트남통신사
팜밍찡(Phạm Minh Chính)총리와 아세안, GCC, 중국 등의 지도자들. 사진: 즈엉장(Dương Giang)/베트남통신사
2024년 아세안 군악대 교류 개막식에서 "음악은 우정을 연결한다"를 주제로 말레이시아 군악대가 공연을 선보였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평화롭고 안정적인 환경은 베트남이 국가 발전에 집중하고 특히 경제 분야에서 놀라운 성과를 달성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1인당 GDP는 1995년 289달러에서 2024년 4,700달러로 증가했다. 경제 규모는 208억 달러에서 4,760억 달러로 20배 이상 증가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995년 100억 달러에서 2024년 약 400억 달러로 증가했다. 베트남과 아세안 간의 교역액은 1995년에서 2024년 사이에 18배 증가했다. 아세안과 주요 파트너 간의 FTA(자유무역협정)에 참여함으로써 베트남은 지역 및 글로벌 경제 연계의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조제 하무스 오르타(Jose Ramos-Horta, 밝은 의상) 티모르 레스트(Timor Leste)대통령과 대표단이 박닌(Bắc Ninh)성에 위치한 베트남-싱가포르 산업단지(VSIP) 모형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아세안 회원국 확대 과정에서 베트남의 기여는 두드러진다. 베트남은 1997년 라오스와 미얀마, 1999년 캄보디아의 아세안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를 통해 아세안은 동남아시아 10개국으로 구성된 "대아세안 가족"의 꿈을 실현했다. 베트남은 아세안의 중요한 활동과 회의를 주최하며 성공적으로 리더 역할을 수행했다. 가입 3년 만인 1998년 12월 하노이에서 제6차 아세안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베트남은 2010년과 2020년에 아세안 의장국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이는 아세안 내 단결과 통합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단체사진을 촬영하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대표단. 사진: 베트남통신사

2025년 3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베트남의 아세안 가입 30주년 기념식에서 또럼(Tô Lâm)당서기장은 달성된 성과를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중심적 위상과 역할을 확고히 하기 위해 아세안이 단결과 합의뿐만 아니라 아세안의 전략적 가치를 발휘하고 협회의 명성과 역할을 높이는 혁신적인 사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붕앙-선즈엉(Vũng Áng- Sơn Dương)항만 시스템은 5만~30만 DWT급 선박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 붕앙(Vũng Áng)항만을 통해 통관되는 화물의 30% 이상은 라오스의 수출품이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베트남 상품 주간은 태국 우돈타니(Udon Thani)성에서 센트럴 리테일 베트남(Central Retail Việt Nam)그룹, 센트럴 그룹 태국(Central Group Thailand)이 호찌민시 무역투자진흥센터(ITPC)와 협력하여 개최되었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아세안의 주요 결정에 있어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비핵지대 조약(SEANWFZ), 아세안 비전 2020, 아세안 헌장, 아세안 공동체 구축 로드맵 등 여러 중요한 문건을 수립하는 데 참여하고 선도적으로 적극적으로 이행했다. 특히, 베트남은 베트남 동해 문제에 대한 아세안의 공동 입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베트남 동해 당사국 행동 선언(DOC)을 이행하며, 베트남 동해 행동 강령(COC)에 대한 중국과의 협상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승무원들이 "Visit Malaysia Year 2026" 로고가 새겨진 비행기 옆에서 기념행사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베르나마(Bernama)/베트남통신사
베트남 축구대표팀이 2024년 아세안컵에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사진: 베트남통신사

개방과 통합을 시작한 이래 베트남은 아세안을 직접적으로 관련되고 가장 중요한 다자 협력 메커니즘으로 항상 인식해 왔다. 새로운 시대의 대외정책 및 노선에 따라 베트남은 아세안의 새로운 발전 여정에 계속해서 최선을 다해 기여할 것이다./.

글: 베트남픽토리알-사진: 베트남통신사-번역: 민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