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지역 여성의 인권 보장

산악지역 여성의 인권 보장

뛰어난 성과

베트남은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에서의 양성평등을 촉진하는 정책을 포함하여 양성평등의 국가적인 틀을 구축하고 여성들에게 꽤 진보된 권리를 부여하였다. 양성평등법 (2006)과 2015-2025년간 소수민족 주민의 조혼 및 근친혼을 줄이기 위한 제안, 2018-2025년 소수민족 거주지역에서 양성평등 활동 지원, 그리고 2021~2030년 간 소수민족 및 산악지역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경제-사회 개발제안 등 과 같은 소수민족 공동체에 대한 특정 정책이 있다. 최근 2021년 10월 14일에 팜빙밍(Phạm Bình Minh)상임부총리는 2021~2030년간 소수민족과 산악지역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 경제-사회 개발프로젝트(1차:2021~2025)를 승인하는 결정 1719/QĐ-TTg에 서명했다.

유엔여성기구(UN Women)와 베트남 노동보훈사회부, 민족위원회의 소수민족국, 주베트남 아일랜드 대사관이 최근에 공동으로 진행해서 발표한 “2015-2019년 베트남의 여성 및 남성 인구통계” 및 “베트남 소수민족 주민 거주지역에서 성별 문제 보고서” 등에 성별 분리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 소수민족 및 산악지역 거주하는 주민들 사이 양성평등에 대한 뛰어난 성과를 보여줬다. 

산역지역에서 거주하는 여성과 아이들의 삶은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더 많은 관심을 필요하다. 사진: 베트남픽토리알

예를 들으면 소수민족의 조혼의 비율이 4.7% 떨어졌음, 인터넷(와이파이, 케이블 또는 3G)을 가진 소수민족 가구의 비율은 9.4배 증가됐으며 2015년 6.5%인데 2019년 61.3%로 확대, 2018년 소수민족의 월평균 소득은 2014년에 비해 1.8배 급증, 소수민족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여성 가구주가 남성 가구주보다 항상 높았음 등이 있다. 

2015년~2019년 기간 동안 소수민족 아동의 정년퇴학률은 15.2% 증가했다. 또한, 의료보험에 가입한 소수민족의 비율은 93.5%에 달하는데 이 중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없었다.

 

경제개발 시키는 소수민족 여성

최근 몇 년 동안 소수민족 여성의 역할 발휘에 관한 사항은 당 위원회, 지방 관리부, 각 부처, 중앙 부처에서 특히 관심을 받아왔다. 이것은 여성 노동자들을 배려하고 돌보는 프로그램 및 제안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많은 지방에서는 소수민족 여성들이 직업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 노동자의 숙련도와서 능력을 향상시키며 노동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구체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현재 소수민족 여성은 노동시장, 특히 첨단적인 기술을 능한 노동자가 필요한 분야에 점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

소수민족 여성들은 사회의 상품과 가족의 수입을 증가시킨다. 사진: 베트남픽토리알

현재, 소수민족 여성들은 사회적 장벽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점차적으로 삶의 평등권을 드러내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많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예를 들으면 교육-훈련 분야에서 민족 학생이 많아지면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은 더 이상 큰 차이가 없다. 소수민족 여성들은 직업 훈련 및 고용지원을 받을 수 있고 소수민족 주민들은 의료 보험과 건강관리를 받고 있다. 경제-정치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을 향상시켰고 여성들은 당과 국가의 정책, 법률을 제정하고 사회의 생산과 수입을 증가시키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2018-2025년 간 소수민족 거주지역 양성평등 활동 지원" 제안의 시행으로 인한 효과에 대해 평가한 국립민족위원 부위원장인 황티하잉(Hoàng Thị Hạnh)차관은 제안의 시행을 통해 경제-사회 영역에서 소수민족 여성의 위상을 높였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