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빙목(Vịnh Mốc)터널, 전쟁 뒤에 신기한 세상

빙목(Vịnh Mốc)터널과 빙링(Vĩnh Linh)터널 시스템은 빙링의 강철 같은 군대와 주민들이 1분 1초도 가지 않고 끈질기게 버티던 구국 항미 항전 기간에 탄생한 군사 건축물인데 지하 깊숙이 수십 킬로미터에 이르는 웅장하고 독특함을 갖다. 고향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전선으로 향하는 교통의 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순간도 한 밀리미터도 떨어지지 않는다".

 빙목(Vịnh Mốc)터널과 빙링(Vĩnh Linh)터널 시스템은 빙링의 강철 같은 군대와 주민들이 1분 1초도 가지 않고 끈질기게 버티던 구국 항미 항전 기간에 탄생한 군사 건축물인데 지하 깊숙이 수십 킬로미터에 이르는 웅장하고 독특함을 갖다. 고향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전선으로 향하는 교통의 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순간도 한 밀리미터도 떨어지지 않는다".

이 터널은 격렬한 전쟁 기간 동안 빙링 군인들과 주민들의 거주지였다. 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항미전쟁(1954~ 1975) 동안 빙링 지역은 중요한 군사적 위치를 차지했고, 남부 전쟁터의 직접적인 후방인 사회주의 북부의 접경지역이자 북꽝찌(Quảng Trị) 전투로 이어지는 관문이었다. 이곳은 남부 전쟁터를 지원하는 북부의 전략적 수송로가 있다. 따라서, 1965~1972년 동안 빙링은 총 50만 톤 이상의 모든 종류의 폭탄으로 지속적으로 파괴되었다. 평균적으로 이 지역의 현지인은 7 톤의 미국 폭탄을 부담해야 했다.

미제국의 파괴적인 전쟁에 맞서기 위해 "전 국민 군사화, 전 지역 방벽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빙링 군과 주민은 각 가정의 생활공간, 조산원, 병원, 유치원, 학교, 창고, 기관본사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지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도로를 따라, 논과 해안을 따라 주거지 곳곳에 배치되며 육상 도로 대신 굴착 교통과 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폭탄의 폭풍우 속에서 빙링 군과 주민들은 이 웅장하고 특별한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약 18,000일 동안 작업하고, 6,000m3 이상의 돌 및 땅을 파서 운반했다.

어둡고 습한 땅 속 극빈의 삶의 모습. 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1965년 말부터 1968년까지 (통계가 완성되지 않음) 빙링현 전체에는 터널이 114개가 있는데 총 길이가 40km 이상이며 터널 교통 시스템이 2,000km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남부 전쟁터"에 처음으로 나타난 "터널 마을"이 되었다. 빙링의 강철 같은 군대와 주민들이 고향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전선으로 향하는 교통의 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순간도 한 밀리미터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의지를 보여줬다.

특히, 빙목(Vịnh Mốc)터널과 빙링(Vĩnh Linh)터널 시스템은빙탁(Vĩnh Thạch)동네의 빙목(Vịnh Mốc) 및 선하(Sơn Hạ)구역에서 채굴됐다. 길이는 1,060m(골목, 가정의 생활공간 제외) 이상이며 터널 높이는 1.7-1.8m이고 13개의 출입구(언덕으로 올라가는 문이 6개, 바다로 통하는 문이 7개)를 포함한다. 터널 양쪽을 따라 2~4명이 생활할 수 있는 작은 구석들이 뚫려 있다. 지하실에는 회의장(수용 인원 50~60명)도 있고, 영화 감상, 예술 공연도 가능하다. 또한, 게시판, 조산원, 병원, 3개의 우물, 화장실, 수술실, 조리용 부엌과 같은 다른 건축물들도 있다.

빙목 터널 내부를 탐험하러 들어가는 관광객의 모습. 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빙목 터널 시스템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1층은 총 길이 421.82m, 너비 0.90m~1.1m, 높이 1.6m~1.75m로 지상 8~11m 깊이에 이른다. 지하 2층은 지상에서 11~15미터, 길이 508.08m, 높이 1.6m~1.94m, 폭 0.8m~1.1m의 깊이이다. 3층은 길이 130.35m, 높이 1.6~1.74m, 폭 0.8~1.1m, 깊이 21~22.5m이다.

이 터널은 격렬한 전쟁 기간 동안 빙링 군인들과 주민들의 거주지였으며, 가장 붐비는 시기에는 약 1,200명이 살았다. 땅속에서의 생활은 항상 빛이 부족해서 오일, 기름과 같은 조명용 재료를 피료한데 환자 응급, 신생아 돌보기와 같은 필요한 때를 위해 절약해야 한다. 땅속 공기는 항상 장마철에 습하고 여름에는 덥고 위생조건이 보장되지 않아 거의 모든 사람이 피부, 뼈, 눈병을 앓고 있다. 거의 2,000일 밤낮이 지하에 존재하며 종족을 유지하기 위해 안전하게 살 수 있기 위해 빙목 터널의 가족, 주민들은 다양한 터널에서 나누어 살아야 한다. 빙링 터널 마을의 터널 세대와 같은 열악한 조건에서 60명의 아이들이 기적적으로 탄생했으며, 빙목의 땅에서만 17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거의 2,000일 밤낮이 지하에서 빙링의 강철 같은 군대와 주민들이 고향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전선으로 향하는 교통의 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순간도 한 밀리미터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의지를 보여줬다. 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격렬한 전쟁 현실에서 빙링 터널 마을의 많은 터널 시스템은 적지 않은 인적 손실을 입었지만, 빙목 터널 시스템에는 더 견고하고 합리적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인명 피해는 없었다.

네덜란드 여성 감독 자넷 가드너(Janet Gardner)는 다큐멘터리 영화 《전쟁의 지하세계: 베트남 터널의 비밀》에서 “1965년 베트남 중부 지방 (꽝찌성)의 사람들이 점점 더 치열한 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다고 썼다. 그들에게 전쟁은 생존을 위한 투쟁이 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조상의 마을에서 도망치는 대신 일련의 터널을 만들고 전쟁의 지하 세상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현재,  빙링 및 빙목 터널은 꽝찌의 DMZ 관광투어의 의미가 있고 매력적인 명소로 됐다. 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대표적인 특별 가치로 2014년 빙목 터널과 빙링 터널 마을 시스템 역사 유적지는 특별 국가급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오늘 날, 빙목 터널과 빙링 터널 마을은 혁명적 전통 교육, 애국 정신, 창조적 노동에서 큰 의미를 가진 독특한 문화-역사적 유산이 되었다. 또한, 꽝찌의 DMZ 관광투어의 매력적인 장소이기도 하며, 관광객 유치와 지역 경제 발전 촉진하는데 기여한다./.

  • 기사: 타잉화(Thanh Hòa)  민투-사진: 타잉화/베트남픽토리알

top